현재 위치:홈페이지 > 초점

미군실종자확인국장 "中과 관계쌓이면 北에 유해발굴 협력 요청"

미군실종자확인국장 "中과 관계쌓이면 北에 유해발굴 협력 요청"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기자 페이지

"한미중 3자 유해 발굴 협력 관심…中도 '고려해보겠다'는 입장"

"北, 유해발굴 협력 대가 원해…NGO가 주도하면 재개할 가능성"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켈리 맥케이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이 20일(현지시간) 일부 한국 특파원과의 화상 간담회에서 미군 유해 발굴 노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4.2.20 bluekey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미국이 중국 측과 미군 유해 발굴 협력을 최근 재개했으며 이 협력 관계가 발전하면 북한에서도 유해 발굴을 재개할 수 있도록 중국에 협조를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미국 국방부 고위당국자가 밝혔다.

켈리 맥케이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국장은 20일(현지시간) 일부 한국 특파원과의 화상 간담회에서 DPAA가 지난 1월 중국을 방문해 2차 세계대전 당시 실종된 미군 3명의 유해를 찾기 위한 현장 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이런 조사가 진행된 것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처음이라고 맥케이그 국장은 소개했다.

광고

미국과 중국은 2019년까지는 중국에 묻힌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해 협력했지만,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고, 중국이 코로나19 봉쇄를 완화한 이후에도 미국과의 군사 대화를 단절하면서 유해 발굴 협력도 장기간 중단됐다.

맥케이그 국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작년 11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회담했을 때 양국 간 소통을 재개하고 관계를 진전시키며 인적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유해 발굴 협력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제 우리가 중국군과 협력을 재개했으니 우리는 미국, 한국, 중국 3자 간 협력 기회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지난 1월 미국 국방부를 방문한 중국 고위당국자를 만났을 때 '중국군이 DPAA, 한국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3자 협력에 관심이 있냐'고 물었는데 고위당국자는 '고려해보겠다'(we would consider it)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중국에서 전사자 유해 발굴하는 미군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중국에서 전사자 유해 발굴하는 미군

(워싱턴=연합뉴스)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PAA) 장병들이 2024년 1월 13일(현지시간) 중국에서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한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4.2.20 [DPA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맥케이그 국장은 북한과 유해 발굴 협력에 대해서는 북한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직후인 2019년 3월부터 미국과 모든 소통을 끊은 탓에 재개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유해 발굴을 항상 인도주의 차원의 노력으로 접근했지만, 불행히도 북한은 유해 발굴을 다른 문제와 불가분하게 연계된 사안으로 보고 있다"며 "북한은 유해 발굴 협력을 대가로 무엇을 받기를 원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 측에 북한 내 유해 발굴 재개를 위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해달라고 요청했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요청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가 중국과 협력을 다시 튼튼하고 더 지속 가능하게 만들어감에 따라 중국에 '북한과 협력을 재개할 기회가 있을지' 물어볼 수도 있다"며 "당장은 재개된 중국과의 협력을 다시 강화하기 위한 작은 조치(baby steps)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정부 간 대화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비정부기구(NGO)가 유해 발굴을 주도하면 "북한이 위협을 느끼지 않는 방식으로 유해 발굴 협력을 재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한국전쟁과 냉전 전쟁포로·실종자 유가족 단체를 이끄는 도나 녹스는 지난 12일 미국평화연구소(USIP) 기고에서 NGO가 인도주의 차원에서 북한을 방문해 미군 유해를 발굴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맥케이그 국장은 이 방안이 성공하려면 NGO가 북한의 동의를 얻는 게 관건이라면서 현재의 대북 제재가 NGO의 유해 발굴 활동에 장애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빌 리처드슨 전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설립한 비영리단체 리처드슨센터가 코로나19 확산 직전에 실종 미군 조종사를 찾으러 북한에 가겠다고 국무부에 신청해 허가받았고, 당시 북한도 리처드슨센터의 방문에 긍정적이었지만 이후 코로나19가 발병해 더 진행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맥케이그 국장은 또 DPAA와 한국 유해발굴감식단이 오는 6월 10∼14일 서울에서 인도태평양 지역 15개 국가가 참여하는 과학회의를 공동 주최한다고 밝혔다.

원래 DPAA가 개최해온 행사인데 올해 처음으로 한미가 공동 주최하기로 했으며 중국과 일본도 초청할 계획이라고 맥케이그 국장은 덧붙였다.

bluekey

다음으로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