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치:홈페이지 > 종합

[논&설] 실리콘밸리 생태계 유감

[논&설] 실리콘밸리 생태계 유감

김현재 기자
김현재 기자기자 페이지

'SVB 예금 전액 보증'에 '억만장자 VC 구제금융' 비판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현재 논설위원 = 미국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만든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는 매우 단순하다.

코로나19 팬데믹 막판에 미국 정부가 푼 돈은 흘러넘치는데 금리는 제로에 가까웠다. 비대면 기술, AI·메타버스·코인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2021년 실리콘밸리에 엄청난 돈이 유입됐다. 스타트업들은 투자받은 돈을 관행대로 SVB에 예치했다. 2020년 1분기 SVB의 총예금 잔액이 600억 달러였는데, 2021년 말에는 거의 2천억 달러에 육박했다. 은행이 예치된 돈을 그냥 쌓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그들은 미 국채 장기채와 주택저당증권 등 안전자산 매입에 '몰빵'했다. 2020년 270억 달러였던 이 은행의 장기채 투자금은 2021년 말 1천280억 달러로 불어났다. 일반 은행들의 경우 25% 안팎인 자산 대비 증권 투자 비율이 55%까지 치솟은 것이다.

그런데 지난해 3월부터 미 연준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상황이 급변했다. 금리가 오르면 은행은 '파티타임'이다. 이자율이 오르면 수익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고금리 시대가 되면 성과급 잔치를 벌이는 이유다. 그런데 SVB는 예대 마진으로 수익을 내는 일반 은행이 아니다. 금리가 오르자 스타트업의 유동성이 악화했고 기업들은 예치했던 돈을 빼가기 시작했다. 가지고 있던 돈을 장기채에 묶어 뒀는데 예금주들이 돈을 달라고 아우성치니 SVB는 손해를 감수하면서 만기 전 국채를 대량 매도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악화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2억5천만 달러의 신주 발행에 나섰다. 이때까지만 해도 충분히 수습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문제는 '디지털 바이럴(입소문)'이었다. SVB가 곤경에 처했다는 소식이 8일부터 기업 메신저 슬랙을 통해 빠르게 확산했다. 스타트업들에 돈을 투자한 벤처캐피털리스트(VC)들이 투자 회사의 CEO들에게 빨리 돈을 빼라고 독촉했다. 스타트업들은 모바일뱅킹을 통해 빛의 속도로 돈을 인출했다. 이른바 '폰 뱅크런'으로 36시간 동안 SVB 예금의 24%에 이르는 420억 달러(약 55조6천억 원)가 빠져나갔다. 단시간에 이 정도 뱅크런이 벌어진다면 감당할 수 있는 은행은 없다. 첨단 기업들과 거래하는 SVB가 미 당국의 금융정책을 전혀 예견하지 못하고 매우 낡은 자금 운용방식인 장기채 구매를 택한 것이 애초의 잘못이었다면 파산으로까지 비화한 것은 슬랙을 통한 입소문과 손쉽게 돈을 뺄 수 있는 인터넷 뱅킹 때문이었다.

창업과 성공을 열망하는 최고의 엔지니어, 이들에게 돈을 대는 억만장자 벤처캐피털리스트(VC), 이들을 끈끈하게 연결해주는 네트워크를 '실리콘밸리 생태계'라 부른다. 1983년 빌 비거스태프와 로버트 메데아리스가 포커 게임 도중 떠오른 '스타트업 대상 금융업'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긴 것이 SVB의 시초였다. 위험부담이 큰 스타트업에 담보 없이 지분을 받는 조건으로 돈을 빌려주면서 스타트업 특화 은행으로 성장한 SVB는 엔지니어들에게 저리로 주택과 자동차 담보 대출까지 해주면서 끈끈한 유대를 형성했다. 스타트업들은 VC로부터 투자받은 돈을 이 은행에 예치하는 것으로 보답했다. "스타트업의 모든 길은 SVB로 통한다"(월스트리트저널)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니 SVB는 실리콘밸리 생태계의 매우 비중 있는 구성원이었던 셈이다. 뱅크런이 벌어지자 SVB 그레그 베커 CEO는 "당신들이 어려울 때 우리가 도와줬던 것처럼 이번엔 우리를 도와달라"고 읍소했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2016년 미국 대선 당시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발생한 가짜 뉴스, 러시아 개입, 개인정보 유출 등 일련의 사태가 발생했을 때 실리콘밸리 내부에서는 '탐욕이 혁신 정신을 삼켜 버렸다'며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다. 가상현실(VR)의 선구자 격인 재런 러니어는 한 기고문에서 "초창기에 우리는 모든 것이 공짜이길 원했다. 우리는 히피 사회주의자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기업가 정신을 꿈꿨다. 스티브 잡스를 사랑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회주의자인 동시에 자유주의자가 되길 원했다. 모순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 그 모순에서 벗어나려면 탐욕을 버려야 한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테크 칼럼니스트 쿨윈은 "사실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들은 너무 부유해졌고, 너무 힘이 세며, 이들이 개발한 기술은 너무 중독성이 강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스타트업 전문투자회사인 Y컴비네이터의 개리 탄 회장은 지난 주말 실리콘밸리 창업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우리가 단결해 힘을 보여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후 그는 약 5천 명의 CEO가 서명한 "미국 경제의 혁신을 구출해 달라"는 온라인 탄원서를 게시했다. 한마디로 자신들의 예금을 보전해 달라는 것이다. 직후 미국 정부는 '예금 전액 보증'을 발표했고, 실리콘밸리는 환호했다. 그러나 밸리 밖 사람들은 "억만장자 VC에 대한 구제금융"이라며 따가운 시선을 보낸다. 은행 건전성은 따지지도 않고 거액을 예치한 사람들을 조건 없이 구해주는 것은 '도덕적 해이'로 이어질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14일 "지급 보증 자격이 없는 특정 예금자 그룹을 구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한 것은 분명 구제금융"이라며 "심지어 탄원한 이들 중 일부는 정부가 지원하는 어떤 형태의 안전망도 공개적으로 반대했던 사람들이어서 위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고 일갈했다. SVB 사태로 실리콘밸리 생태계가 변화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특정 은행에 편중됐던 금융 관행도 바뀔 것이다. 은행 계좌를 보증(25만 달러) 범위에서 여러 개로 묶는 앱이 개발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하지만 딱 그 정도일 것이다.

kn0209

다음으로 공유: